직업기초능력평가
직업기초능력이란?
- 직무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핵심적이고 공통적인 능력이며, 단순히 글을 읽거나 셈을 하는 기초능력의 범위를 넘어 직무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적인 능력을 의미합니다.
직업기초능력평가란?
- 직업기초능력평가는 인터넷 기반의 평가(ICBT : Internet-Computer d Test)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직업역량 보유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평가입니다.
직업기초능력평가의 특징
- ‘무엇을 아는가’가 아닌 “무엇을 할 수 있는가”를 평가합니다.
- 직업기초능력은 ‘있다’, ‘없다’로 구분되는 것이 아닌 직무나 직급에서 요구하는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가 중요하며 직업기초능력평가의 수준은 5등급 체계로 되어 있습니다.
- 직무 맥락과 현실적인 제약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‘아는 것을 활용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가’를 평가합니다.
- 의사소통의 주제나 소재는 직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, 모두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고 자신이 의도하는 바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.
- ICBT 방식의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이용한 안정된 평가입니다.
- 감독교사 PC와 응시자 PC간의 연결상태 확인 및 평가지 배부, 평가시행, 답안 전송하는 ICBT 방식의 안정된 평가입니다.
직업기초능력 평가영역
- 직업기초능력평가 관련 다양한 기초연구들의 결과를 반영하여 직무능력을 기초능력군(의사소통 국어, 의사소통 영어, 수리활용), 업무처리능력군(문제해결), 직장적응능력군(직무적응) 등 총 3개 능력군, 5개 평가영역으로 구분하여 평가합니다.
-
직장적응능력군
- 성공적인 직장 생활을 위한 직장적응 능력 진단
-
업무처리능력군
-
기초능력군
- 직무에 필요한 기본 직업능력 평가
- 의사소통 국어 영역
- 의사소통 영어 영역
- 수리활용 영역
직업기초능력평가와 NCS
- 직업기초능력평가의 5개 평가영역은 NCS 직업기초 10개 능력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, 더 나아가 가치, 동기, 성향 등 직무 성과와 관련이 높은 개인적인 특성에 대한 진단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- 자세한 내용은 직업기초능력평가(https://teenup.or.kr)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.
직업기초능력평가와 NCS직업 기초능력과의 관계도
- 직업기초능력평가 영역
- 의사소통 국어
- 의사소통 영어
- 수리활용
- 문제해결
- 직무적응
- NCS 직업기초능력
- 의사소통 능력
- 수리능력
- 문제해결능력, 정보능력, 기술능력, 자원관리능력, 조직이해능력
- 대인관계능력, 자기개발능력, 직업윤리